카테고리 없음
전형적인 백제석탑들 ~
다시산내댁
2018. 5. 23. 15:30
백제시대 석탑의 특징은 기단이 보통 단층이고, 석탑지붕이 얇고 평평하다가 끝이 살짝 들어올려지고, 1층 지붕돌이 기단돌보다 약간 길고,,,,
익산 왕궁리 5층석탑
백제무왕이 익산에 위성도시로 지은 궁궐터와 절터 (천도설도 있다)에 있는 석탑
국보 289호.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서탑), 국보 11호
이도 백제 무왕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석탑이라고 ..
현재는 6층까지만 원재료가 있지만 7층이나 9층으로 추정하며 현재 복원이 거의 다 끝난 상황이다.
지붕돌 모양이나 기단등 백제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부여의 정림사지 5층석탑, 국보 9호
이 탑은 백제가 수도를 부여로 옮긴 후 지어진 것이라 추정
작고도 아담하고도 완벽해 보이는 장하리 3층석탑
정림사 5층석탑을 본 떠 만들었다고는 하나 또 다른 아름다움이...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무량사 5층석탑
뒤에 보이는 극락전에는 외관상 2층으로 보이나 내부는 동양최대의 불좌상이라고 하는 아미타여래삼존상을 모시는 1층구조의 높은 법당이 있다.
앞에는 석등을 배치하였다.